종로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연구박사학위연구논문, 학위청구전
브랜드는 소비자와 생산자 사이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자가 되었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소통과 상호 작용의 활동까지를 포괄하게 되었다. 특히, 공공영역의 브랜드는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연구자는 전통적인 브랜드 디자인의 역할을 재정의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의 브랜드 디자인이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소통하는 유기체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단일 상징체계 아이덴티티와 확장 가능한 아이덴티티 두 가지 개념을 제안하였다. 종로구의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시각 언어를 활용하여 각 매체의 특성에 맞는 그래픽 가이드를 제안하였다. 그래픽 가이드를 적용하는 매체는 크게 정보전달의 역할을 맡는 게시판 공지물, 가로등 배너, 뉴스레터와 종로구 브랜드 이미지 소통을 맡는 포스터, 공사 가림막, 구민의 소통을 돕는 소통판과 전입자 환영 키트로 구성했다.

©seonalim